[Linux] 리눅스 find 명령어 사용 방법 핵심 정리(파일 찾기)
by 무작정 개발반응형
개요
이번 글에서는 Linux / Unix 서버에서 파일을 찾을 때 사용하는 find 명령어 사용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.
find 명령어는 뜻 그대로 파일 찾기(검색)할 때 주로 사용하고, 다양한 표현식을 사용해서 원하는 파일 목록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.
Linux / Unix 공부할 때 해당 명령어의 Full Name [ex) cp -> copy]을 같이 학습하시는 것이 공부하는데
많은 도움이 됩니다.
find 명령어 사용 방법
find 명령어를 사용할 때 옵션, 경로, 표현식을 줄 수 있습니다.
bash# find 명령어 기본 문법 find [옵션] [경로] [표현식]
find 명령어 - 옵션
- P :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,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를 사용한다.
- L :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를 사용한다.
- H :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,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이다.
- D : 디버그(Debug)메시지를 출력한다.
경로
- 절대 경로, 상대 경로 모두 사용 가능
표현식
아래의 표현식 이외에도 다양한 표현식이 존재하고, 필요에 따라 [help]를 활용하거나 구글링을 해서 사용하면 됩니다.
- -name : 해당 이름의 파일을 찾는다. 해당 이름에 정규 표현식을 활용할 수 있다.
- -user : 해당 유저에게 속한(소유 권한) 파일을 찾는다.
- -type : 지정된 파일 타입에 해당하는 파일을 찾는다.
- -path : 지정된 문자열 패턴에 해당되는 경로에서 파일을 찾는다.
- -print : 검색 결과를 출력하고, 검색 목록을 newline으로 구분한다.(기본 값)
- -atime : n일 이내에 엑세스된 파일을 찾는다.
- -ctime : n일 이내에 만들어진 파일을 찾는다.
- -mtime : n일 이내에 수정된 파일을 찾는다.
- -cnewer file : 해당 파일보다 최근에 수정된 파일을 찾는다.
Reference
생물정보 전문위키, 인코덤
Wikipedia for Bioinformatics
www.incodom.kr
https://coding-factory.tistory.com/804
[Linux] 리눅스 find 명령어 사용법 (파일 찾기, 검색)
find 명령어 리눅스의 find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 다양한 표현식을 사용하여 원하는 파일의 목록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. 리눅스 find 사용
coding-factory.tistory.com
블로그의 정보
무작정 개발
무작정 개발